안녕하세요! 여기는 목성입니다. 계묘년 새해 2023년도를 맞이해 부자가 되기 위해 무엇부터 해야 하나 막막했던 경제 까막눈에서 경제 똑똑이로 거듭나기 위해 경제와 재테크 다양한 돈관리 방법을 공부하며 공유해 보고자 합니다. 몰랐던 정보 혹은 저처럼 돈관리, 경제에 대해 하나도 몰랐던 분들도 쉽게 알 수 있도록 좋은 정보와 자료를 쉽게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그 첫번째로 오늘은 우리가 늘 사용하는 카드, 신용카드와 체크카드에 관련된 신용등급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해요.
특히 저같은 사회초년생들은 신용카드가 발급되는 사실만으로 신나서 사용하다가 큰코다치기 십상이죠.. 영리하게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를 사용하며 덤으로 신용점수까지 올릴 수 있는 방법, 수많은 오해와 진실들을 파헤쳐 봅시다.
Q1) 신용카드 만들면 신용점수가 떨어질까?
아니요. 신용카드 발급은 신용점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여러 장을 만든다고 해서 신용점수가 떨어지는 것도 아닙니다. 그러나, 신용카드를 단기간에 여러 장 발급받는다면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카드 발급 전 금융기관에 서 신용조회를 하기 때문입니다. 짧은 기간 안에 여러 장 의 신용카드를 발급받으면 급하게 돈이 필요한 사람으로 평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Q2) 신용카드를 많이 쓰면 신용점수가 떨어지나?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것 자체는 신용점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오히려 자신의 상환 능력에 맞게 꾸준히 신용카드를 사용해 건전한 금융이력을 만든 다면 신용점수를 잘 관리할 수 있어요. 하지만, 신용카드 한도를 거의 꽉 채워 쓴다면 신용점수에 영향이 갈 수도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한도액의 30~50% 정도를 사용하는 것이 좋아요. 한도액의 30%를 꾸준히 사용하는 것은 또한 신용점수를 올리는데 좋은 영향을 끼친다고 하니 꼭 기억해 두세요.
Q3) 신용카드 해지하면 신용점수가 떨어질까?
신용카드 해지가 바로 신용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건 아니에요. 그러나 장기적인 측면에서 오래된 카드는 해지하지 않는 것이 유리합니다. 카드 개설 정보, 이용 실적, 보유 기간 등 다양한 정보가 신용평가에 활용되기 때문에 오래 사용한 카드를 해지하게 된다면 기존에 쌓인 건전한 거래 이력이 신용평가에 활용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Q4)신용점수를 오르게 하려면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중 하나만 써야 하나?
오해 1. 신용카드 사용은 무조건 줄이고 체크카드만 사용하는 게 신용점수에 도움 된다.
오해 2. 신용카드 하나를 연체하지 않고 꾸준히 써야 내 신용을 증명할 수 있지. 체크카드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아.
둘 다 틀렸습니다. 신용카드, 체크카드 중 한 개만 선택해서 쓰기보다는 두 개의 카드를 모두 적절하게 사용하면 신용점수에 도움이 될 수 있어요.
TIP1. 체크카드 영리하게 사용하는 방법
- 월 30만 원 이상, 6개월 이상 사용
- 6~12개월 동안 꾸준히 사용한다면 적게는 4점에서 많게는 40점까지 신용점수가 올라갈 수 있습니다.
일부 신용평가사에서는 체크카드의 이용 실적도 신용평가에 반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TIP2. 신용카드는 이렇게 사용하기
- 신용카드 한도액을 최대로 설정, 평소에는 그 한도액의 30~50%만 사용하기
- 오래된 카드는 해지하지 말고 계속 사용하는 것을 추천. 신용카드 한도를 꽉 채워서 사용신용카드 한도를 꽉 채워서 사용한다면 신용평가사에서 여윳돈이 부족한 사람이라고 평가할 가능성이 높아져요. 한도를 줄이고 나서 그 한도를 꽉 채워서 쓰는 것 이 오히려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거죠. 또 오래된 카드는 해지하면 기존에 쌓인 건전한 거래 이력이 신용평가에 활용되지 못할 수 있다는 것도 알아두면 좋아요.
오늘의 정보는 여기까지, 궁금한 점 있으시거나 더 알고 싶은 정보 댓글로 달아주세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 모두 신용등급 관리해서 상위1%가 되는 2023년 새해 새사람이 되어요.
'MONE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드라마 속 단골 은행, 그 안전해 보이는 스위스 은행도 과연 망할 수 있을까? (0) | 2023.03.19 |
---|---|
1년 안에 1200억원을 버는 방법 (feat.패트릭 그로브) (0) | 2023.03.19 |
2023년 계묘년에 꼭 알아야할 경제 증시 핵심키워드 4가지 (0) | 2023.02.01 |
연말정산 끝, 종합소득세 준비- N잡과 사이드잡하는 직장인들도 종합소득세 내야 할까? (0) | 2023.01.30 |
5년동안 5,000만원 모을 수 있다는 청년도약계좌 만드는게 좋을까? (1) | 2023.01.26 |
댓글